지금까지의 포스트에서 스마트 팩토리란 무엇이며 그 본질은 데이터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첫 포스트에서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에 실패하는 이유는 스마트 팩토리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말씀드렸습니다.
지금까지의 포스트를 통합해보면 결국 스마트팩토리의 본질인 데이터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여태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을 실패했다는 말이 됩니다.
그럼 슬슬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해야 되겠죠.
과연 우리 회사에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먼저 중요한 것은 우리 회사의 모든 업무에서 만들어 지는 데이터가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 운영되는 자금의 데이터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저장되고 있는가?
* 우리 회사의 종업원에 대한 관리 데이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필요한 데이터와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어떤 방식으로 수집, 확보되고
저장되고 있는가?
* 공정 과정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그냥 버려지고 있는지? 단순히 저장만 하고 있는지?
* 거래처의 데이터는 어떻게 관리되고 있으며 각 거래처 별 거래 규모, 거래 빈도, 주 거래 제품 등의 데이터는
잘 관리되고 있는가?
등과 같이 각 업무에 대한 데이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흘러가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솔직히 말해 그 많은 업무들을 대상으로 아무런 기준 없이 무턱대고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먼저 각 업무를 업무 내용을 기준으로 그룹을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 업무 내용을 기준으로 그룹을 만들고 각 그룹에 포함된 하나하나의 단위업무를 결정합니다.
* 이 그룹에 포함된 단위업무 중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는 단위업무가 무엇인가?
* 첫 번째의 단위업무가 완료되면 그 결과는 어떤 단위업무로 전달되어야 하는가?
* 그룹 내의 모든 단위업무가 완료되는 마지막 단위업무는 무엇인가?
등과 같이 각 단위업무를 결정하고 그 흐름을 정리하고 나면 각각의 단위업무를 위해서 어떤 데이터가 필요하고 업무 처리 결과로 어떤 데이터가 만들어지는지를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관리업무만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서의 업무도 마찬가지 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각 단위공정에서 필요로하는 데이터가 무엇이며 그 다음 단위공정으로 전달해야하는 데이터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정리해 두셔야 합니다.
이런 작업들은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것입니다.
"생산라인을 가동하는 것만도 시간이 부족한데 그런 일을 할 시간이 어디에 있느냐?"라고 말씀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런 작업을 직접 하시지 않고 스마트 팩토리 구축사업자 또는 컨설팅업체에 의뢰하여 분석, 정리하셔도 좋습니다.
비용은 좀 들겠지만 해당 업체들이라면 결과의 정리는 더 명확하게 잘 해 주실 것입니다.
물론 해당 업체는 실제 우리 회사의 정확한 관리 흐름, 공정 흐름을 우리보다는 잘 모르기 때문에 바쁜 와중에도 협력을 하셔야 합니다.
또한 컨설팅 업체 등에 의뢰한 경우, 의뢰 결과를 철저하기 보고받고 설명을 들어서 우리 회사의 데이터 흐름을 완전히 이해하셔야 합니다.
우리가 흐름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구축된 시스템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그냥 기존에 ERP든 MES든 도입해서 그냥 업무 과정에 추가한 결과 밖에 얻을 수 없습니다.
그건 스마트 팩토리가 아닙니다.
* 분석, 정리할 시간이 없다.
* 컨설팅 업체에 의뢰하려니 비용이 문제가 되어서 어렵다.
* 컨설팅 업체가 알아서 해야지 바쁜데 무슨 협력?
이라고 생각하신다면 안타깝지만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은 포기하셔야 합니다.
구축해봐야 오히려 업무가 늘어날 뿐입니다.
각 과정에서 데이터를 입력, 관리하셔야 할테니까요.
스마트 팩토리는 단순히 시스템만 구축해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닙니다.
시스템의 구축은 가장 기본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결국 구축된 시스템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우리가 어떻게 활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 더 좋은 계획을 세우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인가? 라는 문제가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단순히 제조 공정에서의 스마트화에 국한한다면 잘 구축된 시스템이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회사가 제조 공정 하나만으로 구성된 것일까요?
우리 회사의 데이터의 흐름을 잘 이해한다면 동일하게 구축된 시스템이라고 해도 다른 업체보다 훨씬 큰 성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여기까지로 하겠습니다.
다음 글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AI 연관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이란 무엇인가? (0) | 2020.06.22 |
---|---|
(사)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이슈 리포트 -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실패하는 이유 (0) | 2019.08.25 |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본질은 데이터이다 (1) | 2019.08.17 |
스마트 팩토리란 무엇인가? (0) | 2019.08.07 |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에 실패하는 이유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