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개발 업계의 이슈 중 하나는 AI Code Assist 의 활용일 것입니다.
Code Assist라는 도구는 1960년대부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써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AI라는 개념이 제대로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LLM이 등장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겠죠.
2021년 6월 Github의 Copilot이 발표된 후 AI, 특히 LLM을 이용한 다양한 AI Code Assist가 등장했고 ChatGPT의 등장으로부터 촉발한 보다 강력한 LLM에 따라 AI Code Assist도 점점 강력해 졌습니다.
AI Code Assist가 가져다 준 개발 생산성 향상과 많은 장점들이 알려지면서 AI Code Assist 간의 경쟁도 심해졌습니다.
그러나 많은 AI Code Assist들은 사용 방법이 어렵거나 비싼 사용료로 인하여 회사의 지원을 받는 개발 팀이나 개발 도구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 일부의 개발자들을 중심으로 사용되었고, 일반적인 개발자나 일반인들이 사용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현지 시간으로 2025년 2월 25일에 Google이 Gemini Code Assist를 무료로 공개했습니다.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4015
"이제 누구나 개발자! AI 코드 혁신 가속"...구글,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 전격 무료 공개 -
개발자들의 코드 작성과 검토 방식이 인공지능 발전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기존에는 일부 기업과 대형 조직만이 AI 기반 코딩 도구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였지만, 이제는 학생,
www.aitimes.kr
Gemini Code Assist는 Gemini 2.0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아마 Gemini 2.0이 대답할 수 있을 정도의 정보가 있다면 모든 언어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겠죠.
또한 Gemini 2.0의 성능에 의해 원하는 기능을 위한 코드들을 보다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Code Assist들이 코드 자동완성을 중심으로 기능을 지원했다면 최근의 LLM을 기반으로 한 AI Code Assist들은 개발자와 대화하듯이 직접 원하는 코드를 생성하고 개발자의 피드백에 따라 코드의 수정 및 보완, 개선도 가능하니.. 가히 보조 개발자를 하나 더 채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이러한 기능들이 무료로 제공된다는 것이죠.
앞에서 이야기한.. 저런 대단한 기능들이 비싼 사용료로 인해 그림의 떡이었다면 이젠 누구나 부담없이 저런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니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환영해야 할 일이면서 동시에 경계해야 할 일이 되었습니다.
Gemini Code Assist는 월 최대 18만건의 코드 자동 완성을 제공하며, 이 분량은 매일 6천건 이상의 코드 완성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요즘은 개발자들이 워낙 코드를 빨리 작성하기 때문에(그 탓에 버그도 양산하고 있지만..) 맞지 않는 이야기가 되었지만 원래 소프트웨어 공학에서는 하루에 작성할 수 있는 안정적인 코드의 양은 10~15줄이라고 정의하고 있었습니다.
여러 도구들이 발달하면서 1990년대 이후에는 저런 이야기를 잘 하지 않습니다만.. 어쨋든 하루에 작성할 수 있는 안정적인 코드는 생각보다 적은 분량입니다.
그런데 매일 6천건 이상이라고 하면.. 전문가의 입장에서도 극히 많은 분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날림으로 만들어진 코드냐? 라고 물어본다면 그것도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록 아직까지 LLM을 기반으로 한 도구들의 환각현상(Hallucination)이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수 많은 검증된 코드들을 기초로 추론하여 검색해 낸 코드들이기때문에 상당한 수준의 검증된 코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100% 장담할 수는 없으니 개발자가 한 번 더 검증을 해 보아야 하겠지만 생산성의 증가는 당연한 결과일 것입니다.
AI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개발자들이 일자리의 위협을 느낀다고 하지만, 반면에 수많은 개인 개발자들에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든든한 무기이자 동료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AI &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만에 사용해 본 ChatGPT (4) | 2025.04.11 |
---|---|
Meta, Llama4 제품군(Behemoth, Maverick, Scout) 발표 (4) | 2025.04.06 |
월드 모델? 물리 AI? LLM은 사라질거라고? 글쎄.. (2) | 2025.02.02 |
DeepSeek 쇼크 이후 (4) | 2025.02.01 |
DeepSeek V3와 DeepSeek-R1 (2)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