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Source 구글 딥마인드, 알파폴드3를 오픈소스로 공개 AI & IT 이야기 2024. 11. 14. 구글 딥마인드가 다양한 생체 분자의 3D 구조와 상호작용을 예측을 위한 모델인 AlphaFold 3를 학술목적에 한하여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합니다.(현지시간 11월11일 기준)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2773 구글 딥마인드, 단백질 구조 예측 AI '알파폴드3' 오픈소스로 전격 공개..."인류의 건강과 복지에단백질 구조 예측, 오픈소스 인공지능 플랫폼 \'알파폴드2\' 개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의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단백질 구조 예측 AI 도구인 \'알파폴드3(Alwww.aitimes.kr 소스코드는 Github를 통해서 공개되었으며 다음의 URL에서 확인할 수.. MS의 sLLM인 Phi-2가 MIT 라이센스로 풀렸다. AI & IT 이야기 2024. 1. 9. 지금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고 있는 CES 2024의 내용을 살펴보면 산업 전반적으로 AI 기술이 휩쓸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LLM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제품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죠. 또한 AI, LLM을 기반으로 한 로봇들이 눈에 띄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삼성에서도 AI 컴패니언 로봇인 볼리(Ballie)를 발표하고 조만간 출시하겠다고 했다니 말이죠.. LLM 기술이 엣지 디바이스, 또는 온 디바이스라고 불리는 저성능의 단말에서도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성능의 단말... 우리 같은 개인이 가진 저성능의 서버도 같은 처지라고 볼 수 있겠죠. 그러한 장비에서 LLM의 사용은 사실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ㅠㅠ..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